건축사사무소 오구사
/
리모델링 작업
Search
Share
리모델링 작업
설계-시공 작업
Search
신사동 단독주택 ‘오사랑’
music by GRANDBROTHERS
신사동 단독주택 ‘오사랑’ 시공 영상
개발 논리에서 아슬하게 빗겨나 겨우 살아남은 51년된 단독주택이다.
오랫동안 상주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이는 집은 그 상태보다도 50년 전의 평면구조가 더 문제로 보였다.
대문
예산을 고려하여 다른 건축적 욕심을 부리기 보다 요즘 시대에 맞는 반듯한 평면을 만들고, 기본적인 기능(냉난방/단열)에만 충실하게 하자는게 목표였다.
마당 전경
오래된 단풍나무를 자르지 않고 공존할 수 있는 방향으로 증축부를 계획했다.
기존의 방치된 마당에 증축을 해 거실 공간을 확보하였다.
증축된 거실 전경
거실
거실에 앉으면 오래된 단풍나무가 보인다.
현관
현관부 디테일
거실 현관 방
갈현동 감나무집 리모델링
서재를 만들었다.
마당의 한 켠을 정리하고 증축을 했다. 마당을 잃는 것이 아깝긴 했으나 서재를 꼭 갖고 싶었다.
공사전 마당 모습.
공사 완료 직후 모습
완공직후 내부
아직 책이 들어차지 않은 상태의 책장. 독립형 책장이 아니라 기존의 기둥에 선반만 걸친 형태로 배경의 벽돌이 휜히 보인다.
차광을 위해 가림막을 설치하되 조절할 수 있도록 했다.
골조 공사 완료 직후
골조 공사 중
최초의 개념 모형.
환희웅가 서재
첫번째 DIY 프로젝트
작은 단독주택을 구입하고, 1년을 지내보니 현관이 없다는게 가장 불편했다.
신발을 벗는 곳은 있었지만, 중문도 없이 거실의 한 중간에 버젓이 있어, 신발이 늘 보였고, 문을 열면 바로 처마도 없는 외부라 비오는 날이면 우산 둘 곳도 마땅치 않았다.
처마를 만들되 기둥을 놓고 싶지는 않았다.
기둥 놓을 자리가 대문에서 현관으로 이어지는 동선에 있었고, 마당을 넓게 쓰기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었다.
기둥을 놓지 않아도 버틸 수 있는 서까래의 크기와 지붕의 무게, 공간의 크기 등을 고려해 서까래의 길이를 정하고, 채광과 지붕의 무게를 고려해 지붕 재료를 정했다.
완공 후 5년이 지난 모습
기둥을 설치하지 않아 마당 사용에 제약이 없다.
환희웅가 현관
합판 세 장을 이용해서 ‘자투리 없이’ 만들 수 있는 테이블을 생각했다.
비용을 생각하여 합판을 이용했지만, 꼭 합판일 필요는 없다.
합판(4”X8”) 한 장은 1220X2440mm 이다.
Alt 1. 세 장을 이렇게 잘라 아래와 같이 만든다.
책상의 크기는 합판 원판 사이즈인 2440 X 1220mm 이고 서랍까지 갖추었다.
Alt 2. 서랍의 욕심을 버리고 좀 더 단순한 디자인으로 변경.
좀더 단순한 형태인 Alt 2 제작에 돌입.
세 장 테이블(3ply Table)